유압의 기초1 |
1-1.유압이란? |
유압이란 것은 유체역학에 의한 힘과 운동량을 제어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것이다. |
동력원은 전동기 및 엔진이고 이 동력을 움직이고 싶은 부분에 부착되어 있는 액튜에이터에 전달한다. |
전달매체는 구동기에 부착되어 있는 펌프에 의하여 흡입 토출되는 유압작동유이다. |
힘과 운동의 제어는 주로 밸브로 한다. |
1-2. 유압이외의 동력전달방법 |
동력의 전달방식에는 유압방식외에 전기, 기계, 공압, 수압등의 여러 가지 방식이 있지만 각 방식이 갖고 있는 장단점을 충분히 검토하여 가장 적합한 방식을 채용한다. |
유압방식은 이들 가운데서 가장 큰 대동력의 전달에 적합하기 때문에 미래에도 많이 이용될 것이다. |
또 여러방식은 유압방식+전기방식처럼 가장 적절한 각 방식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바람직하다. |
제조가격 소마력의 경우 : 유체, 기계>전기 |
대마력의 경우 : 유체>기계, 전기 |
1-3. 유압의 특징 및 장단점 |
유압의 장점 유압의 결점 |
소형으로도 대동력의 전달가능 |
출력의 크기와 속도를 무단계로 간단히 제어가능 |
자동제어, 원격제어가 가능 |
전부하에서의 시동가능 |
과부하방지대책이 간단 |
입력부와 출력부의 위치를 자유로 바꿀 수 있다. |
가동부의 관성이 작아 기동, 정치를 빠르게 할 수 있다. |
동력의 축적이 어큐뮬레이터에 의하여 간단히 가능하다. |
유온의 변화에 따라 출력부의 속도가 변하기 쉽다. |
유압장치의 동력전달효율이 나빠 손실동력이 크다. |
배관이 곤란하다. |
소음, 진동이 발생하기 쉽다. |
기름의 관리가 어렵다. |
유압유는 가연성이 크므로 위험하다. |
배관접속부, 패킹부 등에서 압유 누설 방지에 주의가 필요하다. |
1-4. 전달하는 유체역학의 동력 |
동력 L1은 다음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. |
L1=PQ/612(KW)=PQ/450(PS) |
여기서 P : 압력(kgf/㎠)………힘에 비례한다. |
Q : 유량(ℓ/min)………운동에 비례한다. |
참고로 기계역학의 동력을 나타낸다. |
(1) 직선운동을 하고 있는 경우의 동력 L2 |
L2=FV/102(KW)=FV/75(PS) |
여기서 F : 물체의 무게 (kgf) |
V : 물체의 속도(m/sec) |
(2) 회전운동을 하고 있는 경우의 동력 L3 |
L3=NT/975(KW)=NT/716(PS) |
여기서 N : 회전속도(rpm) |
T : 토르크(kgf-m) |
1-5. 압력이란? |
압력이란 액튜에이터에 작용하는 부하에 대항해서 유압유에 발생하는 단위 면적당 작용하는 힘이다. |
압력의 압이란 펌프로 부터 토출된 유압유가 부하가 걸리어 있는 액튜에이터와의 사이에서 압박, 압축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. |
액튜에이터가 무부하 상태일때는 압력은 약 0kg/㎠으로 무부하 구동이 된다. |
부하가 크면 큰 만큼 고압이 발생하고 1-4항의 식에 의해 필요 동력이 커지게 된다. |
압력은 전기의 전압에 해당되고 눈에 보이지 않으므로 압력계에 의해 측정한다. |
1-6. 유량이란? |
유압유가 단위사간당 흐르는 량을 말한다. 흐름의 발생은 탱크의 기름을 펌프의 흡입구로 흡입하여 토출구로 토출시키는데서 일어난다. |
펌프의 토출유량을 많게 하려면 대형펌프를 사용하던가, 펌프의 구동회전속도를 빨리하면 얻어지게 되지만 1-4항의 식에 의하여 구동력이 크게 된다. |
액튜에이터에 유입되는 유량이 많을수록 출력의 속도가 빠르게 되며 유량제어 밸브를 사용하여 유량을 제어 하므로서 무단으로 변속이 가능하다. |
유량은 전기의 경우에 전류에 해당되고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유량계로 그 양을 측정한다. |
1-7. 유압장치의 기본형 |
그림 A에서 피스톤을 빨리 상승시키려면 실린더에 단위 시간에 보다 많은 유압유를 공급하면 부하는 보다 빨리 상승한다. 그림 A의 시스템은 기본형이지만 실제 장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. |
(1) 실린더 운동방향의 제어 |
(2) 실린더 운동속도의 제어 |
(3) 실린더 최대부하의 제한제어 |
그외에 수동식 피스톤 펌프를 회전식 연속구동펌프로 바꾸어야 한다. 그림 A에 제어가 가능하도록 부가한 것을 그림 B에 표시한다. |
1-8. 유압회로의 기본해석 |
유압기기는 간소화된 유압용기호로 표시하고 그들이 어떻게 접속되어 있는가를 표시한 것이 유압회로도이다. |
유압용기호는 ISO(국제표준화기구)에서 국제공통의 기호가 제정되어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KSB0054에 규격화되어 있다. 그림D은 그림C를 기호로 사용하여 그린 회로도이다. |
1-9. 유압요소기기의 정리 |
1. 유압펌프 |
2. 액튜에이터 : 실린더, 유압모터 |
3. 밸브 : 압력제어밸브, 방향제어밸브 |
4. 부속기기 : 압력계, 필터, 오일탱크, 쿨러, 히터, 유온계, 어큐뮬레이터 등 |
유압펌프와 유압모터는 구조가 거의 같기 때문에 동시에 설명을 하는 경우가 많다. |
펌프는 구동기에 의하여 축이 회전하여 유압유를 흡입 토출하지만, 유압모터는 펌프로부터 토출된 유압유를 받아서 축을 회전시키는 역할이 서로 다르다. |
2-1. 유압펌프, 유압모터의 종류와 특징 |
압력 유량 회전수 가격 소음 용량형 |
기어형 중 소~중 고 안 중~고 불가 |
베인형 저~중 대 중 중 저 가 |
피스톤(플랜저)형 고 중~대 저~대 고 중~고 가 |
2-2.기본계산식(펌프) |
(1) 실토출량 |
Qp=qp×Np xηv/1,000nv(ℓ/min). |
(2) 소요입력 |
Lp=PpxQp/612xηp(KW)=PpxQp/450xηp(ps) |
여기서 qp : 밀어내는 용적(cc/rev) |
Np : 회전수(rpm) |
ηv : 용적효율 |
ηp : 펌프전효율 |
2-3.기본계산식(유압모터) |
(1) 소요유량 |
Q0=q0×NO/1,000nv(ℓ/min). |
(2) 출력토르크 |
T0=(p1-p2)q0nt(kgf-m) |
(3) 출력 |
L0=N0T0/975(KW)=N0T0/716(ps) |
여기서 q0 : 밀어내는 용적(cc/rev) |
N0 : 회전수(rpm) |
ηv : 용적효율 |
ηv : 토르크효율, 기계효율(전부하 기동시에는 기동토르크 효율로 바꾼다.) |
3-1. 타이로드식 실린더 |
타이로드 볼트에 의하여 헤드카버와 로드카버를 실린더 튜브에 고정하고 있는 형식을 말한다. |
실린더는 피스톤4, 부쉬6, 취부용 플렌지7로 구성되어 있으며 헤드측8과 로드측9와의 사이의 기름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피스톤 패킹10이, 또 피스톤로드5화 부쉬6과의 사이에는 외부로의 기름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로드 패킹이 장착되어 있다. |
패킹의 재질과 이것과 접촉하는 부분의 면조도에 의하여 실린더의 최저 및 최고속도가 결정된다. |
최저속도는 스틱슬립현상이라든가, 일정속도가 얻어지지 않게 되는 한계로 정해지고 일반적으로 10mm/sec이하이다. |
최고속도는 패킹의 내구성으로 결정되며 일반적으로 300mm/sec이다. |
규격제품으로서의 시판되고 있는것은 다음과 같은 사항이다. |
정격입력 : 35, 70, 140, 210kg/㎠ |
실린더내경 : 40~250mm |
3-2. 지지형식(취부방법) |
실린더의 취부방법은 피스톤로드의 좌굴강도의 관계로부터 스트로크의 길이를 정할때 문제가 된다. |
따라서 전진에 사용한다든지 후진에 사용한다든지 사용상 또는 설계상 좌굴강도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. |
3-3. 피스톤로드의 좌굴 |
사례 예1 |
일단고정 |
타단자유 예2 |
(일반적 사례) |
양단회전 예3 |
일반고정 |
타단회전 예4 |
양단고정 |
도시 |
n의 값 n=1/4 n=1 n=2.046≒2 n=4 |
실린더의 설치상태 |
좌굴강도에 관한 계산에는 통상 다음과 같은 오일러의 공식을 사용한다. |
K=n·π²·E·I/L² |
윗식에서 U : 좌중하중(kgf) |
n : 취부상태에 따라 결정되는 정수(그림 49참조) |
E : 탄성계수(강의 경우 2.1×106kgf/cm2) |
I : 로드 횡단면의 최소단면 2차 모멘트(cm4) |
L : 로드길이(cm)………그림49참조 |
이식은 좌굴하중으로 로드가 좌굴해 버리는 의미이므로 다음식을 이용하여 최대작동 하중을 구한다. |
F=K/S |
여기서 F : 최대작동하중(kgf) |
S : 안전계수(약2.5~3.5) |
3-4.. 최대스트로크의 제한 |
로드의 좌굴강도면에서 생각하면 저부하이든가 고부하로 당기는 경우에는 로드를 길게 할 수가 있다. |
그러나 일반적으로 규격품에서는 다음과 같이 최대스트로크를 제한하고 있기 때문에 주의를 요한다. |
실린더내경 40,50 63,80 100~250 |
최대스트로크 1,200 1,600 2,000 |
3-5.. 기본계산식 |
(1) 수압면적(헤드측) |
A1=πD²/400(cm²)………(π=3.14, D=√A1/π) |
(2) 수압면적(로드측) |
A2=π(D²-d²)/400(cm²) |
(3) 출력 |
F1=P1×A1-P2×A2(kgf)………(A1=F1+P2×A2/P1,P1=F1+P2×A2/A1) |
(4) 출력 |
F2=P2×A2-P1×A1(kgf)………(A2=F2+P1×A1/P2,P2=F2+P1×A1/A2) |
(5)속도 |
V1=10000×Q1/60×A1=L/t1(mm/sec)………(Q=60×A1×V1/10000,t1=L/V1) |
(6)속도 |
V2=10000×Q2/60×A2=L/t2(mm/sec)………(Q=60×A2×V2/10000,t2=L/V2) |
(7) 소요압력 : P1, P2 |
위의 (3),(4)항 참조 |
(8) 소요유량 : Q1, Q2 |
위의 (5),(6)항 참조 |
(9) 스트로크 소요시간 : t1,t2 |
위의 (5), (6)항 참조 |
→유압기초설계.xls
0.04MB
'업무관련자료 > 기계관련자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V-벨트 특성 및구조 (0) | 2013.07.02 |
---|---|
[스크랩] 설계 자료 DATA (0) | 2011.04.20 |
[스크랩] 전자동 원형톱기계 KTC-65S/85S (0) | 2011.03.20 |
선반 및 밀링가공 기초교육 (0) | 2011.03.20 |
2011년 제20회 국제금형 및 관련기기전 (0) | 2011.03.20 |